반응형
창업 후 가장 장수하는 산업은 교육서비스업

7년간 사업유지 비율 94% 달해...건설업은 14%로 가장 짧아

창업 후 사업체를 오랫동안 유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산업은 교육서비스업이며, 가장 단명하는 산업은 건설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 2000년 창업한 사업체 중 7년간 사업을 유지한 비율은 62.7%이며, 5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의 유지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고용정보원(원장 권재철)은 2000년 1월에 신규로 고용보험에 가입한 1만3,229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산업별 7년간 사업유지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최근 발간한 고용이슈에서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 7년간 사업을 유지한 사업체는 62.7%인 8,298개로, 이중 사업유지 비율이 가장 높은 산업은 교육서비스업(94.2%)이었으며, 사업서비스업(74.9%), 부동산임대업(68.2%), 보건 및 사회복지업(59.3%), 전기가스 및 수도업(58.3%)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7년간 사업을 유지한 비율이 가장 낮은 산업은 건설업으로 14.9%에 불과했으며, 숙박 및 음식점업(24.1%), 도매 및 소매업(37.5%), 통신업(38.2%) 등의 순으로 사업 유지기간이 짧았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창업후 2년 이내에 폐업한 비율이 무려 51.4%에 달해 단기간에 문을 닫는 사업체가 많았다.

문을 닫는 사업장 비율을 연도별로 보면 창업 첫해 6.8%, 2년째 9.1%, 3년째 7.0%에 달했다가 4년째부터는 4%대로 낮아져 창업 초기에 문닫는 비율이 높아, 창업 후 3년이 사업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점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사업 유지비율도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통신업의 경우 창업 후 3년 이내에 문을 닫는 비율이 33.6∼65.4%에 달한 반면 교육서비스업, 사업서비스업, 부동산임대업 등은 이 기간 문을 닫는 비율이 3.4∼16.2%에 불과해 이같은 추세를 반영했다.

규모별 7년간 사업유지 비율을 보면 500∼1,000인 미만 사업체가 84.4%로 가장 높았고, 50∼69인(81.6%), 1,000인 이상(76.2%), 70∼99인(72.6%), 150∼299인(68.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고용규모 변화를 보면 교육서비스업(97.6%), 사업서비스업(90.4%), 부동산임대업(79.0%) 등 7년간 사업을 유지한 비율이 높은 산업일 수록 고용유지율도 높았다.

그러나 건설업의 경우 7년간 사업유지 비율은 14.9%에 그친데 비해 고용규모는 47.5%를 유지해 생존 사업체 중심으로 일자리 창출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7년간 사업을 유지한 사업체의 고용인원은 2000년초에 8만9,298명이었다가 2006년말에는 16만4,420명으로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

7년간 사업을 유지한 사업체의 규모별 고용규모 비중을 보면 10∼30명 미만에 해당하는 소규모 사업체의 고용규모 비중이 2000년에 15.8%에서 2006년에는 40.4%로 늘어 소규모 사업체가 일자리 증가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형
소상공인 창업 대비 폐업비율 '증가' 추세
경영애로: '경기 침체'(46.4%), '업체 간 과당경쟁'(24.0%), '자금 조달'(16.4%) 順
정책과제: '금융 및 세제지원 확대'(45.6%), '창업 및 정보제공 지원 활성화'(17.6%) 順

국내 소상공인의 72.4%는 최근 회사 경영상태가 어렵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서울에 있는 소상공인 6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소상공인 경영실태 및 정책과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업체의 72.4%는 최근 경영상태가 '어렵다'<'아주 어렵다' 11.2%, '다소 어렵다' 61.2%>고 응답했고, '좋다'고 응답한 곳은 27.6%<'아주 좋다' 1.4%, '다소 좋다' 26.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한상의는 최근 연도별 소상공인 창업 대비 폐업비율은 IMF위기가 있었던 1998년(104.5%)을 제외하면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고 지적했다.

한상의는 "연도별 소상공인 창업 대비 폐업비율이 '97년에 41.8%에서 '99년 64.7%, '01년 68.5%, '03년 86.3%로 증가했고 '05년에는 92.6%에 달했다"고 밝히고, "최근 생계형 창업이 급증하면서 과당경쟁으로 인해 문 닫는 기업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국내 소상공인은 약 265만개로 전체 사업체 수의 88%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종사자수도 510만 명에 달한다.

소상공인에게 경영상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응답 업체의 46.4%가 '경기 침체'를 꼽았고, '업체 간 과당경쟁'(24.0%), '자금 조달'(16.4%), '대형업체의 시장잠식'(5.2%) 등이 뒤를 이었다.

소상공인의 자금관련 애로사항으로는 '높은 금리'(36.4%)가 가장 많았고, '외상판매 과다'(21.0%), '신용대출 어려움'(19.0%), '복잡한 대출절차'(10.0%) 등이 뒤를 이었다.<없음(7.0%), 거래처 부도(6.6%)>

고용관련 애로사항으로는 '인건비 상승'(42.6%), '인력확보 어려움'(28.4%), '잦은 이직'(16.4%), '없다'(12.4%) 순으로 나타났다.<기타(0.2%)>

또한 소상공인들은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의 규제수준에 대해서 가장 높은 5점 만점에 중간보다 다소 높은 3.25점<중간값(mid point) 3.0>을 줬다. 규제가 가장 심한 분야로는 '창업 및 시설기준'이 38.6%로 가장 많았고, '환경'(24.0%), '각종 교육ㆍ훈련'(23.8%), '소방ㆍ안전'(13.0%)순으로 조사됐다.<기타(0.6%)>

한편 응답 업체의 상당수인 87.8%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소상공인지원제도를 이용해 본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용해 본적 있다(12.2%)>

이용해 본적이 없는 이유로는 절반 이상인 52.2%가 '지원제도를 몰라서'라고 응답했으며,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아서'(29.4%), '지원절차가 너무 까다롭고 복잡해서'(15.0%), '신청자가 많아 경쟁이 치열해서'(3.4%) 순으로 응답해 지원제도의 실효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소상공인 지원정책 방향으로는 '금융 및 세제지원 확대'(45.6%)가 가장 많았고, '창업 및 정보제공 지원 활성화'(17.6%), '소상공인 관련 규제 합리화'(17.0%), '교육 및 컨설팅 강화'(13.4%), '소상공인의 조직화 및 협업화 유도'(6.4%) 순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앞으로 새 정부의 경제 살리기가 효과를 거둔다면 소상공인이 당면한 문제 해결에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단기적으로는 세제 및 자금지원, 경영노하우 교육ㆍ컨설팅, 지원제도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