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시 한 복판의 공사 현장에서 노란색 대형 포클레인이 낡은 병원 건물 옆의 자갈을 평평하게 고르고 있다. 그 옆에는 수많은 인부들이 헬멧을 쓰고, 고무 부츠를 신고 흙을 퍼낸다.’... 새로울 것은 하나도 없는 장면이다. 하지만 이러한 공사현장이 어디인가를 안다면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바로 캄보디아 프놈펜 다운타운의 모니봉(Monivong)가와 시하누크(Sihanouk)가가 만나는 지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30여년 대부분을 크메루즈 대학살의 잔재물을 극복하는데 소모한 캄보디아가 지금 꿈틀거리고 있다. 캄보디아 한 가운데에서 부동산 붐이 일고 있는 것이다. 모든 것이 계획대로만 된다면 모니봉과 시하누크가 만나는 교차로에 쌓인 흙은 캄보디아 최초의 마천루, 즉 42층짜리 주거용 빌딩으로 재탄생할 것이다. 이 건설은 한국의 자금으로 진행되고 있다. 몇 킬로미터 떨어진 지점에서도 52층짜리 또 다른 고층빌딩, 이번에도 역시 한국의 도움을 받은 빌딩 공사에 인부들은 여념이 없다.


10년 전만해도 프놈펜에는 교통 신호등조차도 없었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부동산 투기꾼들이 돈을 찾아 혈안이 되어 프놈펜을 샅샅이 살피고 있고, 새로 지어지는 건물들이 세입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아주 최근까지 전기조차 제대로 들어오지 않고 꼭 쓰레기통처럼 보였던 버려진 도시 프놈펜이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하고 있다. 도시 전체적으로 판자촌과 낡은 빌라촌이 부동산 개발을 위해 매각 되었고,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올라가는 아파트, 사무실 빌딩, 쇼핑몰, 신축 빌라 등을 위해 반듯반듯 칼질되고 있다.


캄보디아의 다른 도시도 프놈펜과 마찬가지로 개발 열풍을 맞고 있다. 최근 부동산 개발업자들은 호텔을 짓기 위해서 오랜 문화유산인 앙코르 와트 사원 가까이에 있는 시엠 리프(Siem Reep)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BusinessWeek.com, 08년 4월 21일자).


출처 Business Week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가가 1배럴당 90달러에 달하는 지금 정유회사들은 기존의 석유 생산국 이외의 지역으로 석유 탐사를 나서고 있다. 가장 최근에 떠오르는 석유 탐사지역 중 하나가 캄보디아 연안이다. 그림 같은 섬들 사이로 고기잡이배들이 다니는 태국만(the Gulf of Thailand)에서 미국 정유회사 세브론(Chevron)이 석유탐사를 하고 있다. 관광지 시아누크빌(Sihanoukville)에서 150km 떨어진 곳에서 세브론의 유전개발이 한창이고, 15개의 유정에서 석유 탐사가 이뤄지고 있다.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세브론은 2011년부터 이곳에서 석유와 가스를 채굴할 수 있을 것이다.


캄보디아인들은 희망에 부풀거나 혹은 초조하게 석유가 세계 최빈국 중의 하나인 캄보디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지켜보고 있다. 훈센(Hun Sen) 총리는 최근 석유발견에 대한 논의는 ‘시기상조’이며 ‘확실치 않은’일이므로 앞으로 어떻게 될 지 말하기 어렵다고 세브론은 애초에 캄보디아 연안에 4억 배럴의 석유가 매장됐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웃 인도네시아의 43억 배럴이나 말레이시아의 30억 배럴 매장량과 비교하면 많은 양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에너지 자원이 거의 없는 가난한 캄보디아에겐 대단한 매장량이다. 캄보디아 석유당국(Cambodia National Petroleum Authority)은 국영 정유회사 설립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으며 훈센총리도 조용히 국내 정유회사의 파트너를 물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출처 Business Wee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