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졸업장이 곧 백수증명서라는 공식이 통할 정도로 취업이 어렵다고들 한다. 또한 거친 경쟁을 뚫고 취업을 했지만, 삼팔선, 사오정, 오륙도라는 고용세태를 반영하는 신조어가 익숙할 정도로 우리의 고용불안은 크기만 하다.

직장생활 10년차의 경우 매년 받은 연봉을 계산하면 적게 잡아도 3억 이상은 된다.
그러나 실제 예금잔고와 주거중인 부동산 등의 가치를 합하면 얼마나 될까?

사회적인 보장체계가 미흡한 노령 사회에서 노후생활을 위한 준비는 나 말고는 그 어느 누구도 대신해 주지 않는다. 따라서 인생의 이벤트에 맞는 재무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 저축-후 소비(급여의 최소60%이상을 저축하고 나머지 금액을 소비하는 것)하는 습관을 갖도록 하자

세계적인 증권사에서 자금을 운용했고 챨스슈왑의 사장을 역임한 티모시 메카시는 샐러리맨들에게 3개의 주머니를 준비하라고 한다. 3~6개월간의 비상자금으로 현금처럼 쓸 수 있는 CMA, RP등에 운용하는 생계자금 주머니와 재산증식을 위한 투자용 오락주머니, 그리고 목돈마련과 노후보장용 자산축적 주머니가 그 3가지이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급여생활자라면 반드시 가입해야 하는 필수 금융상품이 있다.

첫째, 현존하는 최고의 비과세 금융상품인 장기주택마련펀드(장마펀드)이다.

필자는 장마펀드를 현존하는 최고의 금융상품이라고 이야기 한다.
금융상품의 수익률의 가장 큰 적은 바로 세금인데, 가입하고 7년만 지나면 펀드에서 생기는 수익은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으며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 혜택까지 주어지는 파워풀한 상품이기 때문이다.

가입자격은 18세 이상 세대주로 무주택자이거나 85㎡이하(25.7평, 3억 원)의 1주택을 보유한 경우 2009년 말까지 가입이 가능하다. 불입가능금액은 년 1200만원(분기당 300만원)이므로 소득공제 300만원(750만원X40%)을 전액 공제받기 위해서는 월 62만5000원만 불입하면 된다. 소득공제 혜택을 감안한다면 펀드수익 말고도 년 6%이상의 수익은 덤으로 생기는 효과도 있다.

최근에는 주식편입비율이 60%이상인 펀드도 출시되고 있어, 주식시장 전망을 밝게 보는 투자자들의 가입이 늘고 있다. 또한 펀드가 대중화되기 전, 은행에서 가입한 예금 형 장마저축의 수익률이 물가상승률도 따라가지 못하는 저조한 수익률을 보여 펀드로 갈아타는 방법을 물어 오기도 한다.

5년 이내 해지 시 소득공제를 받았던 세금을 물어내야 하기 때문에 펀드가 좋다고 해서 무작정 장마저축을 해지하기 보다는 예상수익률과 물어내야 하는 세금을 비교해서 결정하는 것이 좋다.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가입 후 7년이 지나야 한다는 의미로, 7년 이내에 출금하거나 해약한다면, 비과세 혜택이 없어지거나 세금을 물어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여러 혜택이 있다고 해서 무작정 가입할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재무설계 바탕 위에서 가입을 결정해야 한다.

둘째, 초 고령화 시대의 노후 준비를 위한 필수상품인 연금이다.

2005년 기준 우리나라 평균연령은 남자 75세 여자 82세로, 95년에 비해 5세 이상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은퇴 후 소득 없이 살아야 할 시간이 더 길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령화 시대에 노후를 준비하는 은퇴설계에서 연금은 선택이 아닌 필수상품이다.

은퇴준비는 재무적 요소와 비재무적 요소로 구분한다.
재무적 요소로서의 노후자금은 돈이 없다면 자식도 친구도 나를 대접해 주지 않는다는 냉혹한 현실을 받아들이고 미리미리 충분한 자금을 준비해 나가야 한다.
건강관리와 위험에 대한 안정장치를 마련하고 인간적 유대관계와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사회봉사와 취미생활 등 비재무적인 준비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연금은 최소한의 기초적인 생활을 국가가 보장해 주는 국민연금, 기본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기업이 퇴직금을 연금형태로 주는 퇴직연금 그리고 여유 있는 생활을 위해 각자가 준비해야 하는 개인연금 등 3가지로 준비해야 한다.

국민연금은 온 국민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일정시점에서 고갈이 예상되고 있지만 화폐가치를 보장해주고 생존기간 동안 수령할 수 있는 상품이며, 각자가 준비해야 하는 상품으로 연금저축, 개인연금, 변액연금, 변액유니버셜보험, 연금펀드 등이 있다.

연금저축은 소득공제가 가능한 세제적격 상품으로 근로소득자나 자영업자가 모두 가입할 수 있으며 연간 납입보험료의 300만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를 해 주지만, 연금수령 시 연금액의 5%(주민세포함 5.5%)에 해당하는 연금소득세를 내야 한다.

연금상품은 장기상품으로 상황에 맞지 않게 무작정 큰돈을 넣는 경우 손해를 보고 중도에 해지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최소한 10년 이상을 목표로 장기계획 하에 가입해야 하며, 원금보장위주로 상품을 구성하기 보다는 투자의 시대에 맞춰 적절한 분산을 통해 수익 형 상품에의 투자도 고려해야 한다.

시간을 복리투자에서의 Best Friend라고 한다면, 소득 없이 오래 살아야 하는 노후생활에서의 소득을 대신하여 나를 부양하는 Best Friend는 바로 연금이다.
예기치 않은 조기퇴직과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 넉넉하게 목표금액을 설정하고, 시간의 든든한 지원을 받아 복리의 마술을 보여주는 상품이니만큼 하루빨리 준비하는 센스가 필요하다.

셋째, 젊을수록 공격적인 펀드에 적극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

투자에도 '100-나이의 법칙'이 적용된다.
이것은 100에서 자신의 나이를 뺀 뒤 나온 숫자의 비율만큼을 수익성이 높은 곳(위험성도 높음)에, 나머지는 안전성 위주의 자산에 배분하라는 것이다. 나이가 30이라면 70%(100-30)를 주식 및 주식형 펀드 등 위험자산에 투자하고, 나머지 30%를 현금성 자산인 은행예금이나 채권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예컨대 40살인 A씨가 월 100만 원짜리 금융상품에 가입한다고 치자.
이 경우 60%(100-40)인 60만원은 수익률이 높은 주식이나 펀드 등에 투자하고, 나머지 40만원은 원금보장이 되는 안정적 금융상품(예: 은행예금이나 채권)에 가입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100-나이의 법칙'을 액면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개인의 투자성향에 따라 젊은 나이에도 고정수입이 많다면 굳이 위험자산 비중을 높일 필요는 없다. 반대로 나이가 들어서도 이미 투자경험이 풍부하고 리스크를 제어할 능력을 갖췄다면 안전자산 일색으로 비중을 맞추지 않아도 무방하다.

'100-나이의 법칙'은 재테크 초보자에게 적정한 투자 비중을 가늠하는 기준을 제시해 준다. 젊다면 공격적으로 자산을 굴려 다소 손실을 봐도 만회할 시간이 충분하다. 젊은 사람은 고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투자할 수 있어, 기간에 따른 가격변동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위험자산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마지막으로 ‘바로 실행하라!’는 말을 강조하고 싶다.
아무리 좋은 계획이라도 실행하지 않으면 물거품이 되고 만다.
내일이면 한 발 늦는다. 좋은 생각이 떠오르거든, 목표가 세워졌거든, 지금 바로 행동으로 옮겨라. 한 두 번쯤 만나게 될 실수는 친구이자 교훈으로 삼고 두려움의 대상으로 생각하지 말아라. 그러면 어떤 일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딸기아빠 김종석
딸기아빠의 재무설계펀드 이야기 운영자
http://cafe.naver.com/stocknjoy

'딸기아빠의 펀펀 재테크' 저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