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뉴욕(New York), 워싱턴(Washington), D.C., 실리콘 밸리(Silicon Valley)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기술관련 구인광고가 수천 여개에 달하고 있다. 유능한 기술전문가들의 연봉은 닷컴버블 붕괴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기술관련 직업이 이미지에 타격을 입은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기술관련 직업만 다루는 주요 취업사이트인 다이스닷컴(www.dice.com)의 조사결과를 보면, 기술 전문직 종사자의 94%는 자신의 일에 만족하고 있으며, 88%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기술관련 직업을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기술 전문직 종사자들은 아웃소싱(41%)이나 해고(37%)보다는 최신 기술을 습득하는 문제(82%)를 훨씬 더 걱정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이스닷컴은 이 조사에서 “기술 산업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들은 다른 산업과 비교해 볼 때 기술 분야가 매력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는 부분적으로 2001년 경기침체로 기술 산업이 특히 심한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90년대 후반의 기술 거품이 꺼지자 대량해고가 단행됐다. 일자리를 잃은 기술전문가들 중 대부분은 경력이 없는 젊은이들이었다. 기술 산업이 침체기에 들어서자 그들은 경험이 부족해 새로운 일자리를 찾을 수 없었다.”고 매사추세츠주 월샘(Waltham)에 있는 취업회사 윈터, 와이먼(Winter, Wyman & Co.)의 파트너인 데일 웰치(Dale Welch)가 말했다.


따라서 많은 젊은 기술전문가들이 기술 산업분야에서 대거 이탈하게 됐고, 그 결과 기술 산업의  '잃어버린 세대'가 등장하게 된다고 웰치(Welch)씨는 말했다.


많은 구직자들이 다른 직업에 진출하게 됐다. 따라서 “우리는 2-8년 정도의 경험 있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개발업자들이 부족한 상황이다.”고 웰치(Welch)씨는 말했다.


컴퓨터 공학 전공자가 지난 10년 사이 40% 감소했다는 점을 감안해보면 이런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술 구인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해 2001년 이전의 최고치에 거의 육박하고 있다. 이제 유능한 기술 전문가들은 많은 일자리 중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연봉도 많이 올랐다. 채용회사 요(Yoh)에서 1,000명의 기술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연봉은 닷컴버블 붕괴이후 최고치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컨설턴트들은 현재 시간당 평균 83.72달러, 하드웨어 엔지니어는 75.68달러, ETL(추출, 변환 및 로드) 개발업자들은 66.52달러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는 www.yoh.com/YohIndex.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일자리가 폭발적으로 늘게 되면, 지리적인 위치와 전문기술이 다른 것보다 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달 초에 다이스닷컴에 올라온 기술관련 일자리 수를 10개 대도시를 중심으로 분류해 봤다.


1. 뉴욕/뉴저지(New York/New Jersey) - 11,044개

2. 워싱턴(Washington), D.C. - 7,971개

3. 실리콘 밸리(Silicon Valley) - 6,755개

4. 로스 앤젤레스(Los Angeles) - 4,546개

5. 시카고(Chicago) - 4,241개

6. 보스톤(Boston) - 4,167개

7. 필라델피아(Philadelphia) - 3,156개

8. 달라스(Dallas) - 3,084개

9. 애틀란타(Atlanta) - 2,987개

10. 시애틀(Seattle) - 2,309개


웹사이트에 올라온 일자리 수를 기준으로 볼 때 가장 수요가 많은 전문기술은 운영체제분야다. 윈도(Windows) 일자리가 16,573개, 유닉스(Unix)는 14,870개 올라왔다.


오라클(Oracle) 데이터베이스 경력자를 찾는 일자리는 17,354개,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 질의어)는 14,880개였다.


가장 인기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J2EE/Java(13,690개)와 C/C++(11,862개)였다.


다이스닷컴은 지난 2년 동안 전반적으로 기술관련 일자리가 119%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윈터, 와이먼의 데일 웰치(Dale Welch)는 “유능한 기술인재를 확보하기 위대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한동안 이 경쟁이 누그러들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2001년 이후 대량해고와 임금삭감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유능한 기술전문가들에게 마침내 그들의 시대가 다시 찾아온 것이다.


출처 CNN Money


반응형

IBM은 그동안 관심에서 멀어져 있던 소규모 개도국 시장에서의 매출 성장을 위해 추후 3년 간 16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여러 개도국에 대한 이러한 투자 결정은 브라질, 러시아, 인도 및 중국 등 4개 개도국에 대한 초기 투자가 결실을 맺는 시점에서 나온 것이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적지만, 이들 국가에서의 영업성과는 2006년 IBM의 매출 성장액 중 1/4에 달할 뿐 아니라, 추후 장기 재정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IBM의 팔미사노(Palmisano) 회장은 이러한 투자 결정이 세계 시장에 접근하는 IBM의 방식에 중대한 변화를 의미한다고 말한다.


언제나 전통적인 선진국 시장을 먼저 고려하여 사업계획을 준비했기 때문에 과거 IBM은 다른 지역에서의 기회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했다고 팔미사노 회장은 덧붙였다. 팔미사노 회장은 또한 IBM이 장기적인 목적을 가지고 새로운 소규모 시장에 접근하기 위해 도입할 다양한 변화를 제시했다.


이 중 하나는 IBM의 계획 단계에서부터 이들 국가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다. 즉, 개도국에서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먼저 초점을 맞출 것이며 이후 기존의 전통적인 시장에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계획을 조정할 것이라고 한다. 이는 IBM이 그동안 수행해 온 사업방식의 전면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IBM은 이를 위해 소규모 개도국 시장에 적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방식을 개발하기 위한 새로운 부서를 만들었다고 한다.


출처 Financial Times

반응형

투자의 귀재로 잘 알려진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의 워렌 버핏(Warren Buffett) 회장이 텍사스 전력회사 TXU의 부실 채권 21억 달러를 매수했다.


이는 신용경색으로 인해 부실 채권의 가격이 하락하자 가치 투자자들이 다시 부실채권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TXU는 사모투자 전문회사인 KKR(Kohlberg Kravis Roberts; 콜버그 크라비스 로버츠)과 TPG가 지난 2월 채무를 포함한 450억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한 회사다.


버핏은 이번 투자는 부실 채권시장에 대한 투자라기보다는 전력회사에 대한 투자로 봐야한다고 말했다. CNBC가 이를 보도하자 뉴욕 주식시장에서 전력회사 주식이 상승세를 보였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전력회사인 미드어메리칸 에너지 홀딩스(MidAmerican Energy Holdings)를 소유하고 있다. 버핏은 2000년대 초반에 TXU 주식을 매수했다가 나중에 되팔아 막대한 차익을 챙겼다.


지난주 골드만 삭스(Goldman Sachs) 주도의 TXU 인수 지원 은행들이 총 450억 달러 거래에서 37억 5천만 달러의 채권을 판매하자 버핏이 그 중 21억 달러의 채권을 구입했다. TXU 인수는 미국 최대의 차입 매수(LBO)다.


은행들은 TXU 채권 37억 5천만 달러 중 20억 달러는 10.25%의 금리로  1달러당 95센트에 판매했고, 나머지 17억 5천만 달러는 현물지급증권(PIK)으로 10.5%의 금리로 1달러당 93.25센트에 판매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버핏은 두 종류의 채권을 모두 매수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최근 부실 채권 판매에서와 같은 할인율이 적용됐다고 말했다.


버핏은 지난 수년 동안 사모펀드 회사들이 급성장하며 적극적인 인수 합병이 이루어진데 대해 못마땅해 했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자신이 저가에 인수하거나 투자할만한 회사를 찾기 어렵다는 불만이었다.


버핏은 470억 달러이상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버핏은 최근 수개월 동안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시장에서 투자할 만한 인수 대상을 찾아다녔다.


출처 Financial Times

반응형

중국의 대체에너지 시장은 무서운 기세로 성장 중이다. 중국은 2020년까지 자국의 총 에너지 니즈의 15%를 재생 가능한 에너지(태양열, 수력, 바이오메스, 풍력 포함)로 충당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웠다. 반면 동기간까지 유럽연합(EU)은 20%를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충당할 예정이며, 미국은 2013년까지 7.5%를 재생 에너지로 대체할 예정이다. 중국이 15%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650억 달러의 막대한 자금을 투자해야 하며, 지난 해 대체 에너지 개발에 약 100억 달러를 투자했다. 이는 독일 다음으로 많은 투자금액이다.


중국에서 풍력 에너지는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이다. 워싱턴에 본사를 둔 월드워치 연구소(Worldwatch Institute)가 11월 14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 중국 정부는 약 20억 달러를 투자해 생산능력을 두 배로 향상시켰으며, 그 결과 수년 내로 풍력 분야에서 유럽, 일본, 및 미국을 능가할 것이다.


칭화 청정에너지 연구 & 교육 센터의 객원교수이자 이 보고서의 작성자인 에릭 마티노트 교수는 중국이 올해 말 4.6 기가 와트의 풍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0년까지는 목표한 5기가 와트를 2,3기가 와트 상회한 풍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중국의 풍력발전 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30기가 와트의 풍력을 생산할 것이며, 이는 중국이 태양력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양과 동일한 것이다. 또한 그는 2015년쯤 중국정부가 목표를 상향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게리 에반스 대체에너지 개발 전문기업 그린헌터 에너지(GreenHunter Energy)의 CEO는 이렇게 말한다. “중국의 풍력 수요는 크게 증가할 예정이다. 이는 중국 정부가 공공기간에서 대체에너지 사용을 의무화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특히 해안가를 따라 뛰어난 풍력 자원을 갖고 있다.”

중국은 내륙에 250기가 와트, 역외에서 750기가 와트의 잠재적인 풍력자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발전용량은 올해 또 다시 2배로 증가할 예정이다

중국의 풍력 시장은 상당히 매력적인 시장이며, 덴마크의 세계최대의 풍력터빈 생산회사 베스타스 윈드 시스템즈 A/S(Vestas Wind Systems A/S)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베스타스사는 이미 중국에 1,121개의 풍력터빈을 설치해 총 843메가와트의 풍력을 생산 중이며, 이는 중국 내 기업들 중에서 최대이다. 지난 9월 새로운 공장을 오픈한 베스타스사는 중국에 3개 공장을 갖고 있으며, 모두가 해안도시인 텐진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공장에서는 발전기, 1.8메가와트와 2메가와트 풍력터빈 용 허브(hub)를 생산하고 있다. 중국 공장에 고용된 직원의 수는 2년 전 불과 50명에서 현재 1,000명 이상으로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베스타스 윈드 시스템즈의 주가는 2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중국 내에서 베스타스, 스페인의 Gamesa Corporacion Techologica, GE Wind Energry(GE의 GE energy 자회사)와 같은 외국의 풍력터빈 제조회사들이 세를 확장하고 있는 한편, 현지 생산기업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설립 10년을 맞은 Goldwind Science & Technology는 시장 점유율 33%로 마켓 리더로 자리 잡을 만큼 성장했다. 업계 2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베스타스의 시장점유율은 24%, Gamesa는 17%, GE는 13%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언론 보도자료에 따르면, 업계 1위의 Goldwind사는 중국 심천의 주식거래소에 상장할 계획을 갖고 있다. 반면 현지기업으로 2위를 달리고 있는 Sinovel Windtec의 시장 점유율은 불과 6%에 그치고 있으며, 다른 현지 군소기업들의 점유율은 1% 미만이다.


중국 내 풍력에너지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터빈 제작에 필요한 부품 부족사태로 이어져 풍력 터빈 주문이 많이 적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린헌터 에너지의 에반스 회장은 다음과 같이 현재 상황을 묘사했다. “전 세계적으로 부품 공급이 부족한 상태다. 유럽의 몇 몇 대형 터빈 제조사들은 주문이 2012년까지 밀려있다고 말하고 있다.” 에반스 회장은 중국에서 생산한 터빈을 그가 뉴멕시코, 캘리포니아, 몬태나에 개설하려고 계획 중인 풍력발전 지역에 공급할 계획이다. 그는 터빈제작 기술과 품질수준에 신경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에반스 회장은 몇 몇 중국산 터빈을 검열한 후 중국산 터빈들이 유럽산 터빈들보다 우수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어떤 회사로부터 터빈을 공급받을 것인지 그 회사의 이름을 밝히지는 않았다.

출처 Business Week

반응형

세계 PDP 시장이 2008년 27.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PDP 매출은 올해 1,219만대에서 2008년 1,556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디스플레이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뱅크(Displaybank)는 마쓰시타 전기산업(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이 560만대의 매출을 기록하며 36%의 시장점유율로 업계 1위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의 COC(Changhong-Orion PDP-Chaihong; 창홍-오리온PDP-채홍)는 2008년 말에 디스플레이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40인치대 제품의 시장점유율은 2007년 58%에서 2008년에는 42%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50인치대 PDP TV의 시장점유율은 41%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돼 40인치대 시장점유율과 비슷한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올 3분기 중국에서 가장 잘 팔린 32인치 PDP TV는 30인치대 제품의 117%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측됐다. 30인치대 PDP TV의 매출은 올해 113만대에서 내년에는 250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32인치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한국의 LG전자와 삼성SDI 뿐이다. 일본 기업들은 대형 모델에만 집중하고 있다.


마쓰시타, 삼성 SDI, 파이오니어(Pioneer), 히타치(Hitachi)는 2008년에 대형 모델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예정이다. 반면 LG전자는 32인치와 42인치 모델에 더 집중할 예정이다.


업계는 내년에도 60인치 이상의 모델 생산에 관심을 두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PDP 업계는 풀 HD 모델 생산을 늘릴 예정이다. 마쓰시타는 2008년 모델의 50%이상을 풀 HD 모델로 생산할 계획이다. 파이오니어 역시 더 많은 풀 HD 모델을 생산함으로써 고급제품의 비율을 더 늘릴 계획이다.


현재로선 PDP TV용 패널 공장에 대한 신규투자 계획을 밝힌 회사는 마쓰시타뿐이다. 다른 회사들은 투자계획을 연기하거나 취소했다. 마쓰시타의 아마가사키(Amagasaki) 라인 가운데 P2와 P3은 2008년 가동될 예정이다.


2007년 2분기에 PDP 수요 감소로 가격이 하락하면서 PDP 제조업체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되는 연말을 앞두고 LCD 패널 공급이 딸리면서 PDP 패널 가격이 안정을 되찾고 있다.


2008년에는 40인치대 모델보다 수익성이 더 좋은 50인치대 이상 모델의 비율이 늘 것으로 예측됐다.


PDP 제조업체들은 2008년에 50인치 풀 HD 모델을 싱글스캔 방식(single scans; 하단 구동칩 하나만으로도 완벽한 영상 표시가 가능해, 기존 대비 30% 이상의 획기적인 재료비 절감을 이루어 낼 수 있음)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따라서 PDP 제조업체들은 싱글스캔 방식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2007년에 비해 수익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디스플레이뱅크는 예측했다.


출처 Digitimes

+ Recent posts